1. 올해 사과가 금값된 이유

“사과 하나를 깎아서 둘이 나눠먹고 있어요.”

서울시 은평구에 거주하는 조해경 씨는 매일 아침 사과를 꼭 챙겨먹습니다. 일터에 가지고 나가 수시로 챙겨먹기도 합니다. 그런데 올해는 이전처럼 사과를 마음껏 먹지는 못했다고 말합니다. 한여름에는 괜찮은 사과 자체를 찾아보기 어려웠고, 추석 전후로는 값이 너무 비싸 매일 하나씩 먹기는 부담스러웠습니다.

Untitled

자료: 농넷, 한국소비자원 참가격 정보서비스

추석을 앞두고 사과 가격이 뛰는 것은 매년 있어왔던 일이지만 올해는 유독 그 정도가 심했습니다. 농넷에 따르면 올해 9월 사과 1kg당 평균가는 5,730원으로, 작년 2111원의 두 배 이상 올랐습니다. 전체적인 물가 상승의 영향도 있겠지만, 다른 품목과 비교해도 그 상승세가 확연합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요? 원인으로는 ‘이상기후’가 꼽힙니다. 올해 사과 농가에는 이상저온부터 우박, 집중호우, 태풍까지 여러 재해가 연이어 닥쳤습니다. 그간 지역 기사의 형태로 산발적으로 보도된 올해 사과 농가 재해 현황을 한 기사에 모아 보여드립니다.

2. 범인은 바로 너, 이상기후

경상남도 농업기술원의 정은호 사과이용연구소장은 거창군에서 13년째 사과 농사를 짓고 있는 농부이기도 합니다. 정 소장은 올해를 “많은 자연 재해로 농사 짓기가 가장 힘들었던 한 해”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사과 농가에 어떤 일이 있었던 건지, 시간을 거슬러 3월로 돌아가보겠습니다.

최저기온 기준 이상고온 발생일수(일).png

최고기온 기준 이상고온 발생일수(일).png

자료: 기상청 기후분석정보 2023년 3월호

올해 3월은 이상고온으로 유난히 따스했습니다. 포근한 날씨 속 피어나는 꽃들을 보며, 농민은 마냥 기뻐할 수 없습니다. 꽃이 일찍 피면 추위에 그만큼 취약하기 때문입니다. 당시 농촌진흥청은 사과꽃이 활짝 피는 시기를 4월 6∼8일로 예측하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지난 해보다 약 10일 이상 빠른 예측일이었습니다.

영하 기온 발생일수.png

4월 영하 기온 발생.png

자료: 기상청 일별 최저기온

우려는 현실이 됐습니다. 4월이 되자 한 달에도 수차례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며, 사과꽃에 눈이 소복이 쌓이기도 했습니다. 지난 해보다 사과꽃은 이르게 피었는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일은 늦게 찾아온 겁니다. 날씨가 추우면 사과꽃은 암술 씨방이 검게 변하면서 제대로 된 열매를 맺지 못하게 됩니다.

image03.png

자료: 정은호 사과이용연구소장 제공

이러한 냉해 피해를 종합한 자료는 아직 찾아볼 수 없어, 사과 재배지로 알려진 전국 18개 시군에 정보공개를 청구했습니다. 그 결과, 이들 지역 사과 재배면적 총 25713ha 가운데 64%인 16448ha가 냉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무려 여의도 면적(290ha)의 56배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2023 전체 피해.png